🔹 트래블룰(Travel Rule)에 따른 100만 원 이상 송금 시 유의사항

반응형

국내 거래소에서 해외 거래소로 100만 원 이상 송금할 때트래블룰(Travel Rule) 적용 대상이 되므로, 거래소 간 명의 일치 증명이 필요합니다.


1. 트래블룰이란?

  • 자금세탁방지(AML) 규제의 일환으로, 암호화폐 송금 시 송신자와 수신자의 정보를 공유해야 하는 규칙.
  • 국내에서 해외 거래소로 100만 원(또는 1,000 USDT) 이상 송금 시, 수신자 정보 제공이 필수.

2. 거래소가 지정한 거래소 목록 확인 필요

  • 트래블룰을 준수하기 위해 국내 거래소는 해외 거래소 중 일부만 송금 가능하도록 제한하고 있음.
  • 예를 들어, 업비트의 트래블룰 파트너 거래소(VerifyVASP 기준)와 빗썸의 Travel Rule 솔루션을 따르는 거래소가 다를 수 있음.
  • 만약 해외 거래소가 트래블룰 시스템에 포함되지 않으면 송금이 불가능할 수도 있음.

국내 거래소에서 출금하려는 해외 거래소가 트래블룰 적용 대상인지 확인 필요!


3. 명의 일치 증명 필수

  • 100만 원 이상 송금 시, 해외 거래소 계정의 명의가 국내 거래소 계정 명의와 같아야 함.
  • 즉, 국내 거래소 계정과 동일한 이름으로 해외 거래소에 가입해야 함.
  • 만약 명의가 다르면 송금 불가 또는 거래소에서 추가 인증 요청이 들어올 수 있음.

해외 거래소 가입 시, 국내 거래소와 동일한 명의(이름)로 가입해야 함!


4. 거래소별 송금 허용 금액 및 추가 인증

  • 100만 원 이상 송금 시, 거래소마다 추가 인증을 요구할 수 있음.
  • 예를 들어:
    • 업비트 → 바이낸스 송금 시, KYC(신원 인증) 완료된 계정이어야 가능
    • 빗썸 → 해외 거래소 송금 시, 추가 인증 및 서류 요청 가능
  • 특정 거래소에서는 추가 서류(거래 목적, 소득 증빙 등) 요청 가능.

100만 원 이상 송금 전에 거래소의 추가 인증 절차를 확인할 것!


🔹 거래소로 원화(KRW) 입금하고 해외로 코인을 출금할때 대기시간이 있는 이유

국내 거래소에서 원화(KRW) 입금 후 해외 거래소 송금까지 일정 시간 대기시간이 존재하는 이유는 자금세탁 방지(AML) 및 부정 거래 방지 때문입니다.


1. 은행과 거래소 간의 자금 확인 절차

  • 원화를 입금하면 거래소가 해당 자금을 실제로 수령했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
  • 은행과 거래소 간의 거래 내역 검증 시간이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일정 대기 시간이 발생.

입금 즉시 거래 가능하지만, 출금(암호화폐 전송)까지는 일정 대기 시간이 필요!


2. 신규 입금자 및 의심 거래 모니터링

  • 새로운 계좌에서 입금하거나, 과거보다 큰 금액을 입금하면 거래소가 의심 거래로 인식할 수 있음.
  • 자금세탁이나 금융사기 방지를 위해 특정 입금 패턴을 감지하면 대기 시간 증가 및 거래 제한 가능.

처음 이용하는 계좌라면, 입금 후 출금까지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음!


3. 특정 금액 이상 입금 시 추가 확인 필요

  • 일정 금액 이상 입금하면 거래소에서 추가 확인 작업을 진행할 수 있음.
  • 특히 1,000만 원 이상의 입금 거래는 추가 보안 검토를 거칠 수도 있음.
  • 만약 거래소에서 의심 거래로 감지하면 출금이 일시적으로 제한되며, 확인을 위해 전화가 올 수도 있음.

대량 입금 후 바로 송금하려면 미리 거래소에 연락하여 확인하는 것도 방법!


4. 원화 입금 후 일정 시간 동안 출금 제한 (보통 24시간)

  • 대부분의 국내 거래소는 원화 입금 후 24시간 동안 암호화폐 출금을 제한하는 경우가 많음.
  • 이는 입금 후 바로 출금하여 자금세탁에 악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
  •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 주요 거래소는 첫 입금 시 24시간 출금 제한 정책을 시행 중.

미리 원화를 입금해 두어야 원하는 시간에 즉시 송금 가능!


5. 거래소 측에서 원치 않는 송금을 방지하려는 목적

  • 갑자기 대량의 코인을 송금하려고 하면 거래소 측에서 이를 위험한 거래로 감지하고 차단할 수 있음.
  • 거래소에서는 고객 보호 차원에서 의심 거래 감지 시 전화로 확인을 요청할 수 있음.
  • 예를 들어, 고객이 해킹당한 경우 해커가 모든 자금을 송금하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있음.

큰 금액을 송금할 경우, 거래소의 확인 절차를 예상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음!


🚀 결론: 원활한 송금을 위한 팁

1. 해외 거래소가 트래블룰 적용 대상인지 미리 확인
2. 해외 거래소 계정 명의가 국내 거래소와 동일한지 확인
3. 100만 원 이상 송금할 경우 추가 인증 절차를 미리 준비
4. 원화 입금 후 24시간 출금 제한이 있을 수 있으므로 미리 입금해 두기
5. 큰 금액을 송금할 경우 거래소 측의 전화 확인이 올 수도 있음

⏳ 미리 준비해서 원활한 송금이 가능하도록 하세요!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면 질문 주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