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용어 정리 (트랜잭션, 시장 분석, 투자 전략 편)

반응형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기술을 깊이 이해하려면 트랜잭션, 투자 전략, 시장 심리 등 다양한 개념을 숙지해야 합니다. 아래에서 10개의 핵심 개념을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 트랜잭션 및 기술 관련 용어

24. 트랜잭션 (Transaction, 거래)

트랜잭션이란?

  •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데이터 전송 및 교환을 의미합니다.
  • 가장 일반적인 트랜잭션은 암호화폐 전송이며, 디파이(DeFi)에서는 대출, 스왑, 유동성 공급 등의 트랜잭션도 존재합니다.
  • 트랜잭션이 블록체인에 기록되면 변경할 수 없으며, 누구나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남습니다.

트랜잭션 처리 과정

  1. 사용자 A사용자 B에게 암호화폐를 전송하면, 네트워크에 트랜잭션 요청이 전송됩니다.
  2. 해당 트랜잭션은 네트워크의 노드(Node) 또는 마이너(Miner)에 의해 검증됩니다.
  3. 트랜잭션이 검증되면 블록에 추가되고, 영구적으로 기록됩니다.

트랜잭션 속도 결정 요소

  • 블록 크기: 블록체인이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트랜잭션 수량.
  • 네트워크 혼잡도: 트랜잭션 요청이 많을수록 처리 속도가 느려질 수 있음.
  • 수수료 (Gas Fee): 더 높은 수수료를 설정하면 트랜잭션이 빠르게 처리될 가능성이 큼.

25. 트랜잭션 수수료 (Gas Fee, 가스비)

트랜잭션 수수료란?

  •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트랜잭션을 실행할 때 필요한 비용.
  • 사용자가 지불하는 수수료는 채굴자(Miner) 또는 검증자(Validator)에게 보상으로 지급됩니다.

가스비 변동 요인

  • 네트워크 사용량: 트랜잭션이 많을수록 가스비가 증가.
  • 블록 크기 제한: 한 블록에 담을 수 있는 트랜잭션 수가 정해져 있으므로, 경쟁적으로 높은 가스비를 제시하면 더 빨리 처리됨.
  • EIP-1559 (이더리움 업그레이드): 기본 가스비(Base Fee)와 추가 팁(Priority Fee) 구조로 변경됨.

이더리움 가스비 예제

  • 기본 가스비: 20 Gwei
  • 우선순위 팁: 5 Gwei
  • 총 가스비: 25 Gwei

💡 Tip: 네트워크가 한산할 때(예: 새벽 시간)에 트랜잭션을 실행하면 가스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26. 메인넷 (Mainnet) & 테스트넷 (Testnet)

메인넷(Mainnet)이란?

  • 블록체인의 실제 운영 네트워크로, 모든 트랜잭션이 실제 코인 및 토큰을 사용하여 이루어짐.
  • 예: 비트코인 메인넷, 이더리움 메인넷

테스트넷(Testnet)이란?

  •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정식 출시 전에 테스트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 개발자들이 트랜잭션을 실험하고, 새로운 기능을 검증할 수 있음.
  • 테스트넷에서 사용되는 토큰은 실제 가치가 없음.
  • 예: 이더리움 테스트넷(Goerli, Ropsten), 비트코인 테스트넷

💡 Tip: 개발자가 새로운 블록체인 기능을 테스트할 때는 테스트넷을 활용하여 리스크를 최소화합니다.


27. 하드포크 (Hard Fork) & 소프트포크 (Soft Fork)

포크(Fork)란?

  • 블록체인의 코드가 변경되면서 기존 네트워크와 다른 규칙을 따르게 되는 것.

하드포크(Hard Fork)

  • 기존 블록체인과 완전히 다른 체인으로 분리됨.
  • 이전 버전과의 호환성이 없음.
  • 예: 비트코인 → 비트코인 캐시(BCH), 이더리움 → 이더리움 클래식(ETC)

소프트포크(Soft Fork)

  • 기존 블록체인의 규칙을 변경하지만, 이전 버전과 호환 가능.
  • 예: 비트코인의 세그윗(SegWit) 업그레이드

💡 Tip: 하드포크는 기존 코인의 보유자에게 새로운 코인을 지급(Airdrop)하는 경우가 많아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이벤트입니다.


🔹 투자 및 시장 분석 용어

28. 시가총액 (Market Capitalization, Market Cap)

  • 암호화폐 시장에서 특정 코인의 전체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
  • 공식: 시가총액 = 현재 가격 × 유통량
  • 시가총액이 클수록 안정성이 높고, 시장의 신뢰도가 높음.

시가총액 순위 예제

  1. 비트코인 (BTC) - 1.2조 달러
  2. 이더리움 (ETH) - 5,000억 달러
  3. 바이낸스코인 (BNB) - 800억 달러

💡 Tip: 신규 투자자는 시가총액이 높은 코인부터 살펴보는 것이 리스크 관리에 유리합니다.


29. 유동성 (Liquidity)

  • 특정 암호화폐가 얼마나 쉽게 매매될 수 있는지를 나타냄.
  • 유동성이 높으면 빠르게 거래할 수 있으며, 가격 변동성이 적음.
  • 반대로, 유동성이 낮으면 대량 매매 시 가격이 급격하게 변할 수 있음.

💡 Tip: 유동성이 높은 코인은 스프레드(매도/매수 가격 차이)가 좁아 거래하기 유리합니다.


30. 볼륨 (Volume, 거래량)

  • 일정 기간 동안 특정 코인이 얼마나 많이 거래되었는지를 나타냄.
  • 거래량이 많을수록 시장 관심도가 높으며, 가격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음.

💡 Tip: 가격이 급등하는 코인이라도 거래량이 낮다면 유동성 부족으로 인해 큰 하락이 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31. ATH (All-Time High) & ATL (All-Time Low)

  • ATH (역대 최고가): 해당 암호화폐가 역사적으로 기록한 최고 가격.
  • ATL (역대 최저가): 해당 암호화폐가 기록한 가장 낮은 가격.

💡 Tip: ATH 근처에서 매수하는 것은 리스크가 크므로, 조정 후 진입하는 전략이 중요합니다.


32. FOMO (Fear of Missing Out, 놓칠까 봐 두려움)

  • "더 오르기 전에 사야 한다!"라는 심리로 인해 무리하게 매수하는 현상.
  • 비효율적인 투자 결정을 유발할 수 있음.

33. FUD (Fear, Uncertainty, and Doubt, 공포·불확실성·의심)

  • 부정적인 뉴스로 인해 시장이 패닉 상태에 빠지는 현상.
  • 예: 정부 규제 발표, 대형 거래소 해킹 소식

💡 Tip: FUD를 활용한 저가 매수 전략이 유효할 수 있습니다.


34. 바이 더 딥 (Buy the Dip)

  • 가격이 하락할 때 매수하는 전략.
  • 장기적인 상승을 기대하는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방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