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기술은 복잡한 개념과 다양한 용어가 존재합니다. 이를 이해하면 시장을 분석하고, 안전하게 투자하며, 블록체인 생태계를 활용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 기본 용어
1️⃣ 비트코인 (Bitcoin, BTC)
- 2009년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가 개발한 최초의 암호화폐입니다.
- 중앙은행이나 정부의 개입 없이 분산 원장 기술(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 비트코인은 최대 발행량이 2,100만 개로 제한되어 있으며, 희소성이 특징입니다.
2️⃣ 알트코인 (Altcoin)
- 비트코인 이외의 모든 암호화폐를 의미합니다.
- 대표적인 알트코인에는 이더리움(ETH), 리플(XRP), 솔라나(SOL), 도지코인(DOGE) 등이 있습니다.
3️⃣ 스테이블코인 (Stablecoin)
- 가격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법정화폐(USD, EUR 등)나 자산(금, 부동산 등)에 연동된 암호화폐입니다.
- 대표적인 스테이블코인:
- USDT(테더) → 미국 달러 1:1 페깅
- USDC(USD Coin) → 미국 달러 1:1 페깅
- DAI → 알고리즘 기반의 스테이블코인
4️⃣ 토큰 (Token) vs 코인 (Coin)
- 코인: 자체 블록체인을 가진 암호화폐(예: 비트코인, 이더리움).
- 토큰: 다른 블록체인 위에서 생성된 암호화폐(예: ERC-20 기반의 유니스왑, 체인링크).
5️⃣ NFT (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
- 유일무이한 디지털 자산을 나타내는 토큰입니다.
- 예술, 게임 아이템, 음악, 영상, 부동산 등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데 활용됩니다.
- 대표적인 NFT 마켓플레이스: 오픈씨(OpenSea), 룩스레어(LooksRare), 라리블(Rarible)
🔹 블록체인 관련 개념
6️⃣ 블록체인 (Blockchain)
- 데이터를 블록(Block) 단위로 기록하고, 이를 체인(Chain) 형태로 연결한 기술입니다.
- 한 번 기록된 데이터는 변경할 수 없으며, 모든 거래 내역이 투명하게 공개됩니다.
7️⃣ 노드 (Node)
-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개별 컴퓨터를 의미합니다.
- 노드는 블록체인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네트워크의 보안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8️⃣ 해시 (Hash)
-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일정한 길이의 문자열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입니다.
- 블록체인에서는 SHA-256 해시 알고리즘이 많이 사용됩니다.
- 예) "Hello World" →
a591a6d40bf420404a011733cfb7b190d62c65bf0bcda32b53ebdc07a7f41a60
9️⃣ 스마트 컨트랙트 (Smart Contract)
- 사전 정의된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계약입니다.
- 이더리움이 스마트 컨트랙트를 처음 도입했으며, DeFi(탈중앙화 금융), NFT 거래 등에 활용됩니다.
🔟 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
- 블록체인 위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중앙 서버 없이 네트워크에 의해 운영됩니다.
- 대표적인 DApp: 유니스왑(Uniswap), 메타마스크(MetaMask), Axie Infinity(게임)
🔹 채굴 및 합의 알고리즘
1️⃣1️⃣ 채굴 (Mining)
- 블록체인의 거래를 검증하고,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는 과정입니다.
- 채굴자는 연산력을 제공하고 블록 보상(비트코인 등)을 받음.
1️⃣2️⃣ PoW (Proof of Work, 작업 증명)
- 채굴을 통해 블록을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 컴퓨터의 연산력을 사용하여 문제를 풀어야 블록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 비트코인, 라이트코인 등이 PoW를 사용합니다.
1️⃣3️⃣ PoS (Proof of Stake, 지분 증명)
- 코인을 많이 보유한 사람이 블록을 생성하는 방식.
- 에너지를 절약하고, 환경 친화적인 방식으로 평가받음.
- 이더리움 2.0, 카르다노(ADA), 폴카닷(DOT)이 PoS를 사용.
🔹 거래소 및 투자 관련 용어
1️⃣4️⃣ CEX (Centralized Exchange, 중앙화 거래소)
- 운영 주체가 존재하는 거래소(예: 업비트,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 법정화폐 입출금이 가능하며, 사용이 편리하지만 개인 키를 직접 관리할 수 없음.
1️⃣5️⃣ DEX (Decentralized Exchange, 탈중앙화 거래소)
-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운영되는 거래소(예: 유니스왑, 스시스왑, 팬케이크스왑).
- 중앙화 거래소보다 보안성이 높고, 익명 거래 가능하지만, 사용이 어렵고 유동성이 부족할 수 있음.
1️⃣6️⃣ 롱 포지션 (Long Position) vs 숏 포지션 (Short Position)
- 롱 포지션: 가격 상승을 예상하고 매수.
- 숏 포지션: 가격 하락을 예상하고 공매도(차입 매도).
1️⃣7️⃣ 김치 프리미엄 (Kimchi Premium)
- 한국 거래소에서 암호화폐 가격이 해외보다 비싼 현상.
- 국내 투자자들의 높은 수요로 인해 발생.
🔹 보안 및 리스크
1️⃣8️⃣ 프라이빗 키 (Private Key, 개인키)
- 지갑을 조작할 수 있는 비밀번호.
- 해킹당하면 자산을 잃을 수 있음 → 절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함.
1️⃣9️⃣ 퍼블릭 키 (Public Key, 공개키)
- 개인 키에서 파생된 키로, 지갑 주소로 사용됨.
- 퍼블릭 키를 공유해도 되지만, 프라이빗 키는 공유하면 안 됨.
2️⃣0️⃣ 51% 공격
- 특정 채굴 그룹이 전체 네트워크의 51% 이상을 점유하여 거래 기록을 조작하는 공격.
- 보안성이 낮은 블록체인에서 발생할 위험이 있음.
2️⃣1️⃣ 러그풀 (Rug Pull)
- 프로젝트 개발자가 투자금을 들고 도망가는 사기.
- 신규 프로젝트에 투자할 때 백서, 팀 구성, 유동성 잠금 여부 등을 꼭 확인해야 함.
🔹 디파이(DeFi) 및 웹3 관련
2️⃣2️⃣ 디파이 (DeFi, 탈중앙화 금융)
- 은행과 같은 중앙기관 없이 블록체인 기반으로 운영되는 금융 시스템.
- 대표적인 DeFi 플랫폼: Aave(대출), Uniswap(거래소), Curve Finance(스테이블코인 스왑).
2️⃣3️⃣ 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탈중앙화 자율 조직)
- 스마트 컨트랙트로 운영되는 블록체인 기반 커뮤니티.
- 중앙 관리자 없이 투표 시스템으로 결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