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해외 ETF 운영사와 투자규모 간접투자 방법

반응형

비트코인 해외 ETF 운영사

비트코인 ETF는 투자자들이 직접 비트코인을 보유하지 않고도 비트코인의 가격 변동에 투자할 수 있는 금융 상품입니다. 주요 운용사와 그들이 운용하는 비트코인 ETF, 그리고 각 ETF의 운용 자산 규모(AUM)는 다음과 같습니다:

  1. iShares Bitcoin Trust (IBIT)
    • 운용사: 블랙록(BlackRock)
    • 운용 자산 규모: 약 521억 5천만 달러
    • 특징: 세계 최대 자산 운용사인 블랙록이 운용하며, 높은 유동성과 신뢰성을 제공합니다.
  2. Grayscale Bitcoin Trust (GBTC)
    • 운용사: 그레이스케일(Grayscale)
    • 운용 자산 규모: 약 193억 5천만 달러
    • 특징: 초기부터 비트코인 투자 신탁을 제공해 온 선도적인 상품입니다.
  3. Fidelity Wise Origin Bitcoin Fund (FBTC)
    • 운용사: 피델리티(Fidelity)
    • 운용 자산 규모: 약 189억 9천만 달러
    • 특징: 전통 금융 시장에서의 신뢰성을 바탕으로 한 비트코인 ETF입니다.
  4. ARK 21Shares Bitcoin ETF (ARKB)
    • 운용사: ARK 인베스트(ARK Invest)
    • 운용 자산 규모: 약 44억 1천만 달러
    • 특징: 혁신적인 투자 전략으로 유명한 ARK 인베스트가 운용합니다.
  5. Bitwise Bitcoin ETF (BITB)
    • 운용사: 비트와이즈(Bitwise)
    • 운용 자산 규모: 약 38억 달러
    • 특징: 암호화폐 인덱스 펀드 분야에서 경험이 풍부한 비트와이즈가 운용합니다.
  6. VanEck Bitcoin Trust (HODL)
    • 운용사: 반에크(VanEck)
    • 운용 자산 규모: 약 12억 9천만 달러
    • 특징: 전통 자산과 암호화폐를 아우르는 다양한 투자 상품을 제공합니다.
  7. Invesco Galaxy Bitcoin ETF (BTCO)
    • 운용사: 인베스코(Invesco)와 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
    • 운용 자산 규모: 약 7억 3천 4백만 달러
    • 특징: 전통 금융과 디지털 자산 전문 운용사의 협업으로 탄생한 ETF입니다.
  8. Franklin Bitcoin ETF (EZBC)
    • 운용사: 프랭클린 템플턴(Franklin Templeton)
    • 운용 자산 규모: 약 7억 1천 9백만 달러
    • 특징: 글로벌 자산 운용사인 프랭클린 템플턴이 제공하는 비트코인 ETF입니다.
  9. WisdomTree Bitcoin Fund (BTCW)
    • 운용사: 위즈덤트리(WisdomTree)
    • 운용 자산 규모: 약 3억 6천 4백 7십 6만 달러
    • 특징: 다양한 ETF 상품을 운용하는 위즈덤트리가 제공하는 비트코인 ETF입니다.
  10. Hashdex Bitcoin ETF (DEFI)
    • 운용사: 헤시덱스(Hashdex)
    • 운용 자산 규모: 약 1천 4백 9십 7만 달러
    • 특징: 디지털 자산 분야에 특화된 운용사인 헤시덱스가 운용합니다.

이러한 비트코인 ETF들은 투자자들에게 비트코인에 대한 간접 투자의 기회를 제공하며, 각 운용사의 특성과 전략에 따라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투자 시 각 ETF의 수수료, 운용 자산 규모, 운용사의 평판 등을 고려하여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비트코인 간접투자와 직접투자 방법

국내에서 직접 미국 비트코인 ETF에 투자할 수 없지만 간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에 주요 전략을 정리했습니다.


1. 미국 ETF 연계 상품 투자

  • 국내 증권사에서 미국 비트코인 ETF와 연계된 펀드나 랩어카운트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미국 비트코인 ETF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 방법:
    1. 국내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금융 상품 검색.
    2. 해당 상품이 미국 비트코인 ETF와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 확인.
    3. 계좌를 개설하고 투자.

2. 해외 주식 계좌 개설 후 간접 투자

  • 국내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해외 주식 계좌를 개설하면, 미국 시장에 상장된 비트코인 관련 주식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 투자 가능한 주식:
    • 비트코인 마이닝 기업: Riot Blockchain(RIOT), Marathon Digital(MARA) 등.
    • 암호화폐 거래소 주식: Coinbase(COIN).
    • 블록체인 관련 기술 주식: Nvidia(NVDA) 등.
  • 장점: 비트코인 ETF가 아닌 관련 산업에 투자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비트코인 가격 변동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음.

3. 암호화폐 직접 투자

  • 비트코인 ETF 대신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를 통해 직접 비트코인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 국내 거래소: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
  • 장점: ETF를 거치지 않고 직접 비트코인 가격 상승/하락에 투자 가능.
  • 단점: 가격 변동성이 크며, 직접 보관 리스크가 있음.

4. 블록체인 관련 국내 주식 투자

  • 국내에서도 비트코인이나 블록체인 기술과 관련된 기업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 관련 주식:
    • 우리기술투자: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의 운영사인 두나무에 지분 투자.
    • 카카오: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 운영.
    • 위메이드: 블록체인 게임 및 메타버스 연계.

5. 달러로 직접 환전 후 투자

  • 국내 증권사를 통해 외화예금을 개설한 뒤, 미국 비트코인 ETF에 투자할 수 있는 상품에 접근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 환율 변동에 따른 추가적인 투자 리스크를 고려해야 합니다.

추천 전략

  1. 간접 투자가 익숙하지 않다면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를 통해 소액으로 직접 비트코인 투자.
  2. 더 안전한 방식을 원한다면 블록체인 관련 국내 주식이나 미국 블록체인/마이닝 기업에 투자.
  3. 장기적인 ETF 간접 투자를 원한다면 국내 금융사에서 제공하는 연계 상품 탐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