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채·금·민간 신용까지…토큰화된 실물자산 시장 급성장

반응형

etc-image-0

최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토큰화된 실물자산(Real World Assets, RWA)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RWA 시장 규모가 174억 5000만 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미국 국채, 금, 민간 신용 자산이 온체인화되면서 전통 금융과 블록체인의 경계가 점점 사라지고 있다.

그렇다면 RWA란 무엇이며, 왜 이렇게 주목받고 있을까?


RWA(토큰화된 실물자산)란?

RWA(Real World Assets, 실물자산 토큰화)란, 부동산, 채권, 주식, 원자재(금, 은), 신용 대출 등 실제 존재하는 자산을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디지털 토큰으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미국 국채를 블록체인에 올려 하나의 토큰으로 변환하면, 누구나 작은 단위로 국채를 사고팔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금, 부동산, 개인 신용 대출 상품도 토큰화하여 더 많은 투자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든다.

RWA는 전통 금융 시장과 디지털 금융(디파이, DeFi)의 연결을 돕고, 거래 비용 절감, 유동성 증가, 투자 접근성 확대 등의 장점을 제공한다.


1. 토큰화된 미국 국채, 36억 달러 규모로 성장

etc-image-1

최근 미국 국채의 토큰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지난해 8억 달러 규모였던 시장이 36억 달러로 급성장하면서 많은 기관 투자자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 주요 프로젝트

  • 해시노트(Hashnote)의 USYC
  • 블랙록(BlackRock)의 BUIDL
  • 온도(Ondo)의 USDY/OUSG

이 중 블랙록(BlackRock)과 시큐리타이즈(Securitize)가 공동 개발한 BUIDL 펀드는 6억 5000만 달러 규모를 유지하며, 이더리움뿐만 아니라 아비트럼(Arbitrum), 옵티미즘(Optimism), 폴리곤(Polygon) 등 다양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확산되고 있다.

이는 곧 전통 금융이 블록체인 기술을 적극 도입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앞으로 더 많은 금융 상품이 온체인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2. 민간 신용 시장, 블록체인으로 대출까지 가능해진다

etc-image-2

전통적인 금융기관을 거치지 않고 블록체인에서 개인 신용 대출이 가능해지는 시대가 오고 있다. 특히, 피겨(Figure)와 트레이더블(Tradable)이 민간 신용 시장을 주도하며 블록체인 기반 대출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 주요 기업

  • 피겨(Figure): 주택 담보 대출(HELOC)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운영
  • 트레이더블(Tradable): 17억 달러 규모의 기관 신용 자산을 ZKsync Era(Layer 2 블록체인)으로 이전

이러한 변화는 은행과 같은 중개기관 없이 블록체인에서 직접 대출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있으며, 더 빠르고 투명한 금융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3. 토큰화된 금, 시가총액 7억 달러 돌파

etc-image-3

금 시장에서도 블록체인 기술이 적극 활용되고 있다. 테더 골드(Tether Gold, XAUt)는 최근 금 가격 상승과 함께 시가총액 7억 달러를 돌파하며 급성장했다.

🔹 테더 골드(XAUt) 특징

  • 실제 금 보유량과 연결된 디지털 토큰
  • 누적 거래량 2억 3700만 달러
  • PAXG, USDT 등과의 거래 활성화

이처럼 금과 같은 실물자산이 블록체인에서 자유롭게 거래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고 있으며, 앞으로 원유, 부동산 등의 자산도 토큰화될 가능성이 높다.


4. 디파이(DeFi)와 RWA의 융합 가속화

etc-image-4

블록체인의 핵심 분야인 디파이(DeFi, 탈중앙 금융)에서도 RWA와의 융합이 빠르게 진행 중이다.

  • 메이플 파이낸스(Maple Finance): BTC, ETH, SOL을 담보로 대출을 제공하며, 락업 자산(TVL) 6억 달러 돌파
  • 슈퍼스테이트(Superstate): 미국 국채 기반 투자 전략을 활용하며, 3억 달러 이상의 자산을 운용

이처럼 RWA와 디파이의 결합은 기존 금융 시장의 한계를 넘어서 더 투명하고 접근성 높은 금융 생태계를 만들고 있다.


결론: 온체인 금융이 전통 금융을 바꾼다

토큰화된 실물자산(RWA)은 전통 금융과 블록체인 기술을 연결하며, 새로운 금융 혁명을 이끌고 있다.

  • 미국 국채, 민간 신용, 금 등 다양한 자산이 온체인화되고 있으며,
  • 기관 투자자들이 블록체인 기반 금융상품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추세다.

이는 곧 금융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전통 금융과 디파이(DeFi)의 경계가 점점 사라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앞으로 더 많은 금융 상품이 온체인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RWA 시장의 성장이 금융 산업의 패러다임을 어떻게 바꿀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반응형